윤석열 당선인의 공약 중 청년을 위한 금융 공약이 존재하는데요. 여기에 2022 청년도약계좌가 많은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청년희망적금보다 지원 대상과 혜택도 더 많으며 10년 만기 시 1억 원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관심을 끌고 있는데요. 가입 대상과 한도 및 금리와 지원 내용을 알아볼게요.
코로나 자가격리 생활지원비 유급휴가비 지원금 신청 대상 지원금액
코로나 자가격리 생활지원비 유급휴가비 지원금 신청 대상 지원금액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 지급을 3월 16일 수요일부터 개편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남에 따른 조치로 보이며 생활지원비와 유급휴가비 지원금 신
minit.tistory.com
2022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윤석열 당선인의 청년을 위한 금융 공약 중에서 청년희망적금 확대와 청년도약계좌 도입을 볼 수 있는데요. 가입 조건도 더 넓고 혜택도 더 많기 때문에 젊은층에서 엄청난 호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은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는 19세 ~ 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데요. 중장기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하여 청년도약계좌를 도입한다고 해요.
청년도약계좌 지원 내용
가입 한도는 월 70만 원으로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을 10만 원에서 40만 원 지원해 줍니다. 금리는 연 3.5% 복리로 적용되며 가입자 소득에 따라서 장려금을 지급하며 10년을 납부하여 만기 시 1억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 선택 가능합니다.
만약,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거나 장기 실직 또는 질병 등의 이유로 장기 휴직이나 재해 등의 경우에는 중도 인출도 가능하고 재가입도 허용됩니다. 단, 재정으로 지원하는 제도와의 중복 가입은 할 수 없습니다.
1. 지원 대상: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는 19세 ~ 34세 청년
2. 가입 한도: 월 70만 원
3. 금리: 연 3.5% 복리
4. 지원 내용: 가입자 소득에 따라서 장려금을 지급하며 10년 만기 시 1억 원 적립
5. 가입 형태: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 선택 가능
연 소득에 따른 정부 지원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본인 기여 30만 원, 정부 지원 40만 원
-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 본인 기여 50만 원, 정부 지원 20만 원
- 연 소득 4,800만 원 이하: 본인 기여 60만 원, 정부 지원 10만 원
- 연 소득 4,800만 원 초과: 본인 기여 70만 원, 비과세 등 혜택
금리가 복리로 3.5%이고 한 달에 70만 원을 10년 동안 납입을 하면 원금 8,400만 원에 이자가 1,600만 원인데요. 이 정도의 지원이면 청년을 위한 최고의 적금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공약은 공약일 뿐 아직 100% 확정된 것이 없으며 청년이 모두 가입하면 추가 예산이 10조 원 가까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취임 후 실제 정책을 발표할 때는 혜택이 조금은 줄어들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연령 기준은 동일한데요. 청년희망적금은 3,600만 원 이하 소득자에게만 혜택이 있지만 청년도약계좌는 모든 청년에게 가입 혜택을 주기 때문에 대부분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려고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경우 엄청난 예산이 들 것으로 생각합니다.
1. 청년도약계좌
- 지원 대상 연령 기준: 만 19세 ~ 34세
- 지원 대상 소득 기준: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어야 함
- 정부 지원 기준:
->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정부 지원 40만 원
->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 정부 지원 20만 원
-> 연 소득 4,800만 원 이하: 정부 지원 10만 원
-> 연 소득 4,800만 원 초과: 비과세 등 혜택
- 1인당 총 정부 지원금액: 소득 2,400만 원 ~ 3,600만 원 시 10년 동안 2,400만 원
- 상품 운용 형태: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 선택
2. 청년희망적금
- 지원 대상 연령 기준: 만 19세 ~ 34세
- 지원 대상 소득 기준: 총 급여 3,600만 원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 정부 지원 기준: 납입액에 따라 다르며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 지원
- 1인당 총 정부 지원금액: 소득 월 50만 원 적금 가입 시 2년 동안 36만 원 (비과세 혜택 별도)
- 상품 운용 형태: 적금 상품
마치며
아직은 정확한 2022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이나 지원금액 및 신청방법에 대해서 나오진 않았고요. 윤석열 공약으로만 살펴본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취임 후 발표하는 정책에는 혜택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래도 굉장히 메리트가 큰 청년을 위한 정책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지원 대상 가입 신청하기
2022년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지원 대상 가입 신청하기
청년들을 위한 2022년 청년희망적금 가입 신청 날짜가 다가왔습니다. 매월 50만 원을 2년 동안 납입하면 원금 1,200만 원과 시중 이자 및 저축장려금 36만 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현재 청년희망적금
minit.tistory.com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특고 프리랜서 긴급생계비 50만원 지원대상 현장 온라인 신청방법 (0) | 2022.03.26 |
---|---|
2022 코로나 가족돌봄휴가 비용 지원금 50만 원 신청 대상과 제출서류 (0) | 2022.03.22 |
코로나 자가격리 생활지원비 유급휴가비 지원금 신청 대상 지원금액 (0) | 2022.03.16 |
알바몬 부산 사이트 구인구직 일자리 채용 취업정보 찾기 (0) | 2022.03.11 |
통영형 일상회복지원금 1인당 10만원 통영시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과 신청방법 (0) | 2022.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