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df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df 및 du 명령어는 굉장히 자주 사용되는데요. 먼저 알려드리고자 하는 df 명령어는 간단하게 말해서 리눅스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즉, 파일시스템과 하드디스크의 크기, 사용량, 여유용량, 사용률, 마운트 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df 명령어에는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통해서 다른 단위로 더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디스크 용량을 볼 수 있겠습니다.

리눅스에서 df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일시스템의 용량이 출력되는데요. 만약 디스크 용량이 꽉 차버린 경우에는 Use% 부분이 100%로 출력됩니다. 해당 내용을 보고 어떤 파일시스템이 용량을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확인 후 용량 조절을 하면 되겠습니다.
df 명령어에 h 옵션을 붙이면 사람이 보기 좋게 단위가 표시되어 디스크 용량이 출력됩니다. 킬로바이트(K), 메가바이트(M), 기가바이트(G) 이런 식으로 단위가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용량을 직관적으로 보기 위해서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옵션입니다.
중요 옵션 사용방법
df 명령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옵션에는 다양한 옵션들이 존재하는데요. 굉장히 많은 옵션들이 존재하긴 하지만 다 알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옵션에 대해서만 잘 사용할 줄 알아도 파일시스템에 대한 사용률이나 이용 가능한 용량을 파악하는데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시스템 엔지니어로 일했을 때 리눅스 시스템의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df 명령어에 h 옵션을 주로 사용했었습니다.
리눅스 du 명령어
Linux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du 명령어는 현재 디렉터리 또는 내가 별도로 지정한 디렉터리에 대한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df 명령어와 마찬가지로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며 주로 -h 옵션을 사용합니다.
du 명령어는 현재 디렉터리와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하지만 단위가 출력되지 않아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옵션을 같이 사용하면 사람이 보기 쉬운 형태로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du 명령어에 -h 옵션을 사용하면 사람이 구분하기 쉬운 형태로 디렉터리 사용량에 대한 용량은 K, M, G 단위로 표현하여 출력해 줍니다.
또한 du 명령어에 -sh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현재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출력해서 보여줍니다. 대신 주의해야 할 점은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사용량은 출력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중요 옵션 사용방법
du 명령어에도 다양한 옵션들을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고 다양한 옵션들을 전부 알고 있을 필요는 없고요. du 명령어 사용방법이 궁금하다면 du --help를 입력하여 자세한 옵션에 대한 사용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du 명령어에서 -h 옵션과 -sh 옵션을 주로 사용합니다.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구글 크롬 기본 브라우저 설정 (0) | 2021.05.12 |
---|---|
대기질 현황 및 세계 미세먼지 농도 미세빅 앱 (0) | 2021.05.11 |
포토샵 모자이크 처리 기본 방법 (0) | 2021.05.11 |
갤럭시 기본 앱 사진 필터 적용하기 (0) | 2021.05.10 |
파이썬 설치 및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하기 (0) | 2021.05.10 |
댓글